이 프로젝트에서는 스크래치주니어 블록 명령어를 이용하여 고양이가 어떻게 움직이는 지를 알아 봅니다. “고양이를 터치했을 때” 와 “실행 버튼을 클릭했을 때”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을 배웁니다.
터치해서 고양이를 움직이기
- 왼쪽의 캐릭터 영역에서 고양이를 선택합니다.
- 화면 아래 블록 카테고리 영역에서 시작(노란색)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.
- 시작 블록 중에서 “탭해서 시작하기” 블록을 프로그래밍 영역에 드래그해서 놓습니다.
- 화면 아래 블록 카테고리 영역에서 동작(파란색)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.
- 동작 블록 중에서 “오른쪽으로 이동” 블록을 프로그래밍 영역에 드래그해서 “탭해서 시작하기” 블록에 가까이 위치시켜 연결합니다. 이 블록은 오른쪽으로 1만큼 이동합니다.
- 무대에 있는 고양이를 터치해서 스크립트 실행을 테스트합니다.
고양이가 스스로 걷게 하기
이번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고양이가 스스로 걷게 코딩합니다.
- 왼쪽의 캐릭터 영역에서 고양이를 선택합니다.
- 화면 아래 블록 카테고리 영역에서 시작(노란색)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.
- 시작 블록 중에서 “초록색 깃발로 시작하기” 블록을 프로그래밍 영역에 드래그해서 놓습니다.
- 화면 아래 블록 카테고리 영역에서 동작(파란색)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.
- 동작 블록 중에서 “오른쪽으로 이동” 블록을 프로그래밍 영역에 드래그해서 “초록색 깃발로 시작하기” 블록에 가까이 위치시켜 연결합니다.
- “무한 반복하기” 블록을 맨 뒤로 연결해 스크립트가 계속 실행되도록 만들어 봅니다.
- 화면 상단의 초록색 깃발을 탭하여 스크립트가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.
사과 사라지게 하기
- 왼쪽의 캐릭터 영역에서 사과 캐릭터를 선택합니다.
- 화면 아래 블록 카테고리 영역에서 시작(노란색) 카테고리를 선택합니다.
- 시작 블록 중에서 “닿아서 시작하기” 블록을 프로그래밍 영역에 드래그해서 놓습니다.
- 모양 블록 중에서 “숨기기” 블록을 프로그래밍 영역에 드래그해서 “닿아서 시작하기” 블록에 가까이 위치시켜 연결합니다.
- 화면 상단의 초록색 깃발을 탭하여 스크립트가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.
0 Comments